안녕하세요. 멋진 선배 입니다. 오늘은 2025년 성남시 청년들의 주거, 취업, 교육, 경제적 안정 등 다양한 분야의 청년 복지 정책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거 안정 지원 프로그램
취업 청년 주거안심 패키지
성남시에 거주하는 19~34세 무주택 취업 청년을 대상으로 주거 초기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통합 지원을 제공합니다. 지원 내용은 ▲부동산 중개비 및 이사비 1세대당 40만 원(생애 1회) ▲전세보증금 대출 이자 월 20만 원(10개월) ▲월 임차료 지원 월 20만 원(10개월)이며, 소득 기준은 1인 가구 연소득 4천만 원 이하입니다. 2025년 사업 규모는 총 750세대로, 잡아바 어플라이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 접수가 가능합니다.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2025년 2월까지 확대 시행되는 이 프로그램은 청년 독립세대(중위소득 60% 이하)와 청년 원가구(중위소득 100% 이하)에게 월 최대 20만 원을 12개월간 지원합니다. 재산 기준은 각각 1억 2,200만 원과 4억 7,000만 원 이하로,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
전용 34세 이하 무주택 청년에게 수도권 기준 최대 3억 원의 전세자금 대출을 연 2.1%~2.7%의 저금리로 지원합니다. 부부 합산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순자산 3.45억 원 이하가 조건이며, LH청약센터와 협력은행에서 접수 가능합니다.
취업 역량 강화 사업
미취업 청년 ALL-Pass 프로그램
2025년 1월부터 상시 접수되는 이 사업은 자격증 취득을 위한 응시료와 교육비를 1인당 최대 100만 원(저소득층 200만 원)까지 지원합니다. 국가기술자격(Q-net) 987개 종목과 민간자격증 1,542개 종목이 포함되며, 연간 1만 명 규모로 전국 최대 규모를 자랑합니다.
청년 창업지원 패키지
창업 3년 이내 청년 사업자에게 사업장 임차료 월 30만 원을 12개월간 지원하는 신규 사업입니다. 2025년 상반기 30명을 선발하며, 창업 교육과 멘토링을 병행하여 성공률 제고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경제 지원 정책
청년 복지포인트
경기도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18~34세 청년에게 연간 50만 원 상당의 복지포인트를 제공합니다. 건강보험료 기준 월 86,710원(약 급여 260만 원) 이하 근로자가 대상이며, 2025년 총 17,000명을 선발할 계획입니다. 현재 2025년은 복지포인트 선정 일정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청년희망인턴제
시청과 공공기관에서 6개월간 인턴 근무 시 월 265만 원의 급여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2025년 상반기 100명 모집 예정으로, 공공분야 진출을 희망하는 청년들에게 실무 경험 기회를 제공합니다.
지역사회 참여 활성화
청년 ON마을 프로젝트
소셜다이닝, 지역 봉사, 문화 기획 등 활동을 통해 청년의 사회적 관계망을 강화하는 프로젝트입니다. 2025년 3기 참가자를 모집 중이며, 활동비와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1인 가구 힐링 스페이스
전국 최초로 시 직영으로 운영되는 이 시설은 하대원동에 위치하며, 고독사 예방을 위한 상담 서비스와 취미 교실, 공유 주방 등을 제공합니다. 연간 5,000명 수용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1인가구 힐링스페이스 운영 | 사회적 고립 예방 | 성남시 1인가구 지원사업 | 성남복지이음 (snbokji.net)
≪성남복지e음≫ 1인가구 힐링스페이스 운영
■ 성남시 1인가구 힐링 스페이스 소개 희망도시 성남성남시 승격 50주년성남시 1인 가구 힐링 스페이스혼자서 행복하고 함께 즐거운 성남운영방향
www.snbokji.net
성남시 다른 복지 프로그램 알아보기
2025.03.06 - [생활] - [복지] 성남시 70세 이상 어르신 대중교통 지원사업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 방법, 지원 대상 버스, 주의사항 총정리
[복지] 성남시 70세 이상 어르신 대중교통 지원사업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 방법, 지원 대상 버
안녕하세요, 멋진 선배 입니다. 오늘은 성남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70세 이상 어르신 대중교통 지원사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사업은 어르신들의 이동권을 보장하고 사회활동을
zhouse2020.tistory.com
정책 효과와 향후 과제
성남시 청년 정책의 가장 큰 강점은 주거-취업-생활 안정의 3중 지원 체계에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주거 지원 사업 수혜자 3,200명, 취업 프로그램 참여자 1만 2,000명, 경제 지원 수혜자 2만 8,000명 등 종합적인 접근이 특징입니다. 그러나 청년기본소득 제도가 성남시에서 배제된 점, 지원금의 사각지대 존재 등이 개선 과제로 지적됩니다. 2026년까지 모든 구에 청년종합지원센터를 확충한다는 계획 하에, 보다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청년 복지 모델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 2025년 경기도 청년 복지 지원 정책 4가지 알아보기 (0) | 2025.03.14 |
---|---|
[위스키 추천] 20만원대 고급 위스키 글렌드로낙 15년 리바이벌에 대해서 알아보자. (1) | 2025.03.11 |
[술추천] 일본 고급 위스키 추천 - 하쿠슈 비터스윗 가격, 외관, 맛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5.03.07 |
[복지] 성남시 70세 이상 어르신 대중교통 지원사업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 방법, 지원 대상 버스, 주의사항 총정리 (0) | 2025.03.06 |
어린이집 낮잠이불 추천 4가지. 포몽드, 비비엔다, 도노도노, 히요코베이비 비교 분석 총정리 (0)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