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서울시의 장기전세주택 '미리내집'은 신혼부부와 예비신혼부부를 위한 혁신적인 주거 안정 정책 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하고 내 집 마련의 기회를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미래내집의 개요
미리내집은 '내 집이 될 주택을 미리 마련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이 정책의 핵심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장기 거주 가능 : 기본 10년에서 최장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어 주거 안정석을 보장합니다.
- 저렴한 임대료 : 주변시세의 약 80% 수준으로 책정되어 경제적 부담을 줄여줍니다.
- 내 집 마련 기회 : 거주 기간 동안 자녀 수에 따라 해당 주택을 매입할 수 있는 혜택을 제공 합니다.
입주 자격 및 조건
미리내집 입주를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거주 지역 : 모집 공고일 기준 서울특별시 거주자
- 소득 기준 :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120~200% 이하여야 합니다.
- 자산 기준 : 총자산 6억 5,500만원 이하, 자동차 가액 3,708원 이하
- 무주택 요건 : 신청자 및 세대 구성원이 5년 이상 주택 소유 이력이 없어야 합니다.
우선 배정 및 혜택
미리내집은 다음과 같은 우선 배정 기준과 혜택을 제공 합니다.
- 자녀가 있는 신혼부부 및 출산 예정자 우대
- 소득 100~120% 이하일 경우 전체 물량의 40% 우선 배정
- 3자녀 출산 시 최장 20년까지 거주 가능
- 자녀 수에 따라 시세의 80~90%로 혜당 주택 매입 기회 제공
공급 확대 방안
서울시는 미리내집의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임대의무기간 만료 주택 활용: 2027년부터 20년 만기가 시작되는 기존 장기전세주택을 미리내집으로 전환.
- 매입임대주택 활용: 비아파트 매입임대주택을 활용해 미리내집 규모 확대.
- 다양한 주택 유형: 공공 한옥 등을 활용한 '한옥 미리내집' 등 주거 형태 다양화.
- 신규 택지 개발: 고덕강일 공공주택지구에 '신혼부부 전용단지' 조성, 서리풀 신규택지에서 대규모 공급 계획.
강화된 인센티브
서울시는 미리내집 입주자들에게 더욱 강화된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 입주 후 2자녀 이상 출산한 3자녀 이상 가구에게 3년차부터 넓은 평형으로 이주 기회 제공
- 3자녀 이상 출산 시 10년 거주 후 우선매수청구권 부여
청약 신청 및 방법
미리내집 청약은 주로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서울주택도시공사(SH) 홈페이지 접속
-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 로그인
- 신청서 작성 후 제출
SH인터넷청약시스템 >주택임대>장기전세주택2(미리내집)>인터넷청약>공고 선택
SH인터넷청약시스템 >주택임대>장기전세주택2(미리내집)>인터넷청약
www.i-sh.co.kr
중증장애인을 위한 방문 청약도 지원됩니다.
미리내집의 성과와 전망
미리내집은 큰 관심을 받고 있으며, 제1·2차 입주자 모집에서 평균 경쟁률이 50 대 1을 넘어섰습니다. 서울시는 2025년에 총 3,500가구, 2026년에는 4,000가구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결론
서울시의 장기전세주택 미리내집은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과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인 정책입니다. 저렴한 임대료, 장기 거주 가능성, 그리고 내 집 마련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젊은 세대의 주거 불안을 해소하고 출산을 장려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의 지속적인 공급 확대 노력과 다양한 인센티브 제도를 통해 미리내집은 앞으로도 많은 신혼부부들에게 희망적인 주거 대안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장기전세주택2 미리내집 2025년 4차 청약 일정, 공급규모, 대상지역, 청약신청 방법 총정 (0) | 2025.02.22 |
---|---|
서울시 장기전세주택2 '미리내집' 자격 소득 및 자산기준, 청약신청지 주의할점, 청약 꿀팁 완벽 가이드 (0) | 2025.02.22 |
[임장] 성동구 옥수동 900세대 구축아파트 리모델링 예정 옥수극동 아파트를 다녀오다. (0) | 2025.02.20 |
[채권] 미래에셋증권 브라질 국채 수수료, 최소투자금액, 주문가능시간 총정리 (0) | 2025.02.19 |
아파트 구조 2베이, 3베이, 4베이 구조 특징, 장단점, 활용법 총정리 (0) | 2025.02.19 |